부동산 경매, ‘이것’ 착각하면 무조건 손해💸

‘평수 착각’으로 손해 보지 않으려면?

부동산 경매에서 입찰가를 정할 때 가장 중요한 것은 정확한 정보 수집입니다. "싸게 샀다!"고 기뻐했지만 제대로 조사하지 않아 손해를 보는 경우도 적지 않습니다.
많은 분들이 이런 실수를 해요
경매 물건의 면적 표시는 ‘전용면적’ 기준인데 이를 공급면적으로 착각하여 다른 평수의 매매가를 기준으로 시세를 조사해 낙찰가를 높거나 적게 쓰는 실수를 하는 경우도 있고요.
다세대·다가구·상가의 경우 같은 건물이라도 층수나 내부 구조에 따라 면적과 시세가 달라질 수 있는데
우연히 방문한 같은 건물의 다른 층 매물로 임장을 진행하고 그 물건을 기준으로 입찰가를 정해 낙찰받았는데 내부 구조가 예상보다 작아 손해를 보는 경우도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착각은 큰 손해로 이어질 수 있기 때문에 반드시 정확한 조사와 비교가 필요합니다.
오늘은 부동산 경매에서 내부 구조 확인 방법과 평수 착각으로 인한 시세 조사 실패하지 않기 위한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잠깐! 헷갈리지 않도록 부동산 면적 용어 정리해볼게요!

전용면적 → 우리가 실제로 사용하는 공간 (거실, 방, 주방, 화장실 등)
공용면적 → 다른 세대와 함께 사용하는 공간 (계단, 복도, 엘리베이터 등)
공급면적(분양면적) → 전용면적 + 공용면적

평수&내부 구조 확인, 이렇게 하면 됩니다!

온라인으로 면적 정보 확인
아파트: 네이버 부동산을 활용해 해당 동·호수의 정확한 면적과 내부 구조를 확인합니다.
다세대·다가구 : 경매마당에서는 멤버십 회원을 대상으로 다세대, 대가구의 내부 구조를 쉽게 확인할 수 있는 건물배치도·평면도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경매마당 물건 상세페이지
건물배치도
세대 평면도
건축물대장 확인
불법 증축 여부, 건물 용도, 실제 사용 면적 등을 체크해야 합니다.
건축물대장과 실제 내부 구조가 다르면 추후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니 주의하세요!
현장 조사 필수!
가능하다면 경매 물건의 내·외부 상태, 구조, 마감재, 설비 상태를 직접 확인합니다.
입찰 전 세입자 또는 관리사무소, 인근 부동산에 문의하여 내부 상태에 대한 정보를 얻는 것이 좋습니다.

낙찰 후 예상치 못한 문제를 방지하는 법

① 전용면적과 공급면적의 차이를 정확히 이해하기!
② 정확한 면적과 구조를 파악한 후 신중하게 입찰!
건축물대장, 현장 조사, 경매마당의 건물배치도·평면도 서비스 등을 활용해보세요.
③ 시세 조사 제대로 하기!
"비슷한 평수니까 이 정도겠지"라고 생각했다가는 낭패를 볼 수 있어요.
④ 내부 구조 변화 가능성 체크!
낙찰 후 추가 공사 비용이 발생할 수 있으니 반드시 확인하세요.
⑤ 내부 확인이 어려운 물건은 정확하게 조사하고 신중하게 접근!
같은 건물이라도 층수나 구조에 따라 내부 면적과 활용도가 달라질 수 있으니 주의하세요.
부동산 경매는 정보가 곧 돈입니다!
작은 실수 하나가 큰 손해로 이어지는 만큼 철저한 조사와 신중한 판단을 통해 가장 합리적인 낙찰가를 결정하고
손해 보는 일 없이 성공적인 경매 투자를 하시길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