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7/21 Daily NEWS

오늘의 부동산 뉴스

오늘의 부동산 뉴스로 주요 뉴스를 빠르게 확인하세요!

 주요기사

5억 미만 아파트 거래, 갑자기 폭증한 이유
 요약 : 6·27 대출 규제 이후 수도권 아파트 시장이 중저가 중심으로 재편되며 5억 원 이하 아파트 거래 비중이 40.1%에서 50.4%로 증가한 반면, 10억 원 초과 고가 아파트 거래 비중은 23.9%에서 12.1%로 크게 감소했다. 그러나 가격 흐름에서는 서울 고가 아파트, 특히 30년 이상 노후 단지가 재건축 기대감으로 평균 7.3% 상승해 시장 내 양극화가 심화됐다. 서울의 10억 원 초과 아파트는 평균 3.6% 상승했지만, 경기도는 0.5% 상승, 인천은 6.1% 하락하며 지역 간 온도 차가 뚜렷했다. 전문가들은 대출 규제가 실수요자를 중저가 아파트로 몰리게 하는 동시에 자산가들이 재건축 단지에 집중 투자해 거래량 감소와 함께 쏠림 현상이 심화되고 있다고 분석했다. 이에 따라 실수요자 보호 효과는 제한적인 반면 중산층 이하의 내 집 마련은 더 어려워지고 시장 내 구조적 불균형이 확대되고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급매 거의 다 빠져… 다양한 평형서 실수요·투자문의 이어져" [현장르포]
 요약 : 6·27 대출 규제 시행 한 달여 만에 서울 외곽 지역 아파트 시장에서 지역별로 상반된 흐름이 나타나고 있다. 도봉구는 GTX-C와 창동 차량기지 복합개발 등 개발 호재를 기반으로 가격 상승세가 이어지며 전고점에 근접한 거래도 나오고 있다. 7월 2주 도봉구 아파트값은 0.06% 상승해 전주 대비 소폭 확대됐고, 실수요자와 일부 투자자의 문의도 증가하는 분위기다. 반면 금천·관악·구로 등 금관구 지역은 매수자와 매도자 모두 관망세로 돌아서며 상승폭이 둔화되고 거래량도 크게 줄었다. 전문가들은 서울 외곽 지역의 시장 흐름이 입지와 개발 호재에 따라 달라지고 있으며, 현재는 전반적으로 거래가 위축된 상황으로 풍선효과는 제한적일 것이라고 분석했다.
강남 20평대 아파트, 40억 넘었다…어디?
 요약 : 서울 주요 지역에서 소형 아파트 가격이 다시 급등하며 고가 거래가 이어지고 있다.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공개시스템에 따르면 서울 서초구 반포동 래미안 원베일리 전용 59㎡가 지난 3월 43억 원에 거래됐으며, 래미안퍼스티지·아크로리버파크 전용 59㎡, 강남구 압구정동 한양1차 전용 49㎡도 최근 40억 원에 거래됐다. KB부동산 자료에 따르면 지난달 서울 한강 이남 11개 구의 소형 아파트 평균 매매가는 10억1398만 원으로, 2021년 부동산 급등기 이후 약 4년 만에 10억 원대를 회복했다. 이는 소형 아파트에 대한 수요 증가와 고급 단지의 희소성이 반영된 결과로 분석된다.

 더 많은 기사 살펴보기

[분양캘린더]부산 ‘르엘리버파크센텀’ 등 7956가구 분양[집슐랭]
우리집은 13억, 옆집은 20억…'전셋값 이중가격' 심화
대출규제에 오피스텔 반사이익 얻을까…"수요 증가로 이어질 수도"
서울시, 토지거래허가 실거주 미확인 등 외국인 3명에 이행명령
'기존 부지 활용'…3기 신도시 용적률 상향될까[주택공급 확대]③
“동대문 옆에 4500세대 대단지 짓는다고?”…대체 그런 땅 어디 있길래
서울 아파트 낙찰가율 5개월 만에 가장 낮아
인천 ‘분양형 호텔’ 경매 급증, 1억2천짜리 3천만원 ‘폭락’
다시 주목받는 '싱가포르'…"도시개발·미수금 리스크 없는 시장"
[르포] 서울시 지원받은 자양동 일대 정비사업… 한강변 틈새시장 노린다
[단독] 개포우성7차 '들썩'⋯특정 자재 지명 논란
삼성물산, 양천구 신정동 1152번지 재개발 수주
상도·신창·삼선동…자금부담 덜한 초기 재개발 주목
서울시, 용산구 신창동 등 신통기획 후보지 8곳 토지거래허가구역으로 지정
고덕현대, 49층 952세대 단지로 재건축…명일신동아는 947가구로 변신[집슐랭]
‘노치원’ 때문에 고소전까지…재건축 단지 ‘몸살’
북아현3구역, 5310가구로 확대…구청에 칼 빼들고 '사업 속도'
‘한강 조망’ 동작구 본동 일대, 1080가구 주거단지로 탈바꿈
‘6억 장벽’에 막힌 이주비…정비사업 수주전, ‘현금력’ 확전

데일리 경매 데이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