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8/5 Daily NEWS

오늘의 부동산 뉴스

오늘의 부동산 뉴스로 주요 뉴스를 빠르게 확인하세요!

 주요기사

“전셋값 두 달만에 3억 더 불렀다”…강서·송파 대단지도 전세매물 딱 1건
 요약 : 6·27 대출 규제로 전세퇴거자금 대출 한도가 1억원으로 줄자 집주인들이 전세 대신 직접 입주를 택하며 서울 전세 물량이 급감하고 전셋값이 급등하고 있다. 송파구, 강동구, 강북구 등 주요 지역 대단지에서 전세 매물이 1년 새 40~80% 줄었고, 신축 단지와 기존 대단지 모두 전세 품귀 현상이 확산 중이다. 전세 매물 부족은 월세나 반전세 증가로 이어지고 있으며, 서울 월세 물량은 전년 대비 28% 늘었다. 하반기 전국 아파트 입주 예정 물량이 전년 대비 39% 줄어 ‘입주 절벽’이 예고되면서 전세난 심화와 전셋값 상승이 불가피하다는 전망이 나온다. 전문가들은 가을 이사철을 앞두고 강남3구와 한강벨트를 중심으로 전세 가격이 큰 폭 오를 가능성을 경고했다.
"강북 전세도 5억 시대"…서울 아파트 전세값 3개월 연속 올라
 요약 : 7월 서울 아파트 중위 전세가격은 5억6333만 원으로 3개월 연속 상승했으며, 강남 11개 구는 6억4167만 원, 강북 14개 구는 4억9500만 원을 기록했다. 전세 수급지수는 145로 수요가 공급을 크게 웃돌았고, 6·27 대출 규제로 전세퇴거대출 한도가 축소되면서 집주인들의 직접 입주가 늘어 전세 물량이 전년 대비 12.7% 감소했다. 송파·중랑 등 일부 1000가구 이상 대단지에서는 전세 매물이 ‘0’인 곳도 나왔다. 하반기 신축 입주물량은 1만5000가구, 내년 상반기는 2964가구에 그칠 전망으로 공급 부족이 심화되고 있다. 전문가들은 전세난이 당분간 지속되며, 2027년 계약갱신청구권 만료 시 더 심각한 상황이 올 수 있다고 경고했다.
매물·거래 동시 증발… 시장 "매물 줄면 가격 못잡아"
 요약 : 7월 서울 아파트 매매 거래량은 3064건으로 6월 대비 74.3% 급감하며 올해 최저치를 기록했고, 매물도 3월 대비 2만가구 이상 줄었다. 매물 감소는 송파(-46.3%), 서초(-41.1%), 용산(-37.7%) 등 핵심지에서 특히 두드러졌다. 정부의 토지거래허가구역 지정과 6·27 대출 규제 시행이 매매 위축의 직접적 요인으로, 집주인들이 매물을 철회하는 흐름이 확산됐다. 그럼에도 송파 리센츠(84㎡, 33억9000만 원)와 서초 래미안퍼스티지(198㎡, 85억 원) 등 재건축 및 인기 단지에서는 신고가 거래가 이어지고 있다. 전문가들은 거래 활성화를 통한 수급 조정이 가격 안정의 바람직한 방안이라고 지적했다.

 더 많은 기사 살펴보기

6·27 대출 규제 후 거래 급감 속 장기 보유 매도자는 오히려 증가
“1위에서 100위권 밖으로”… 대출 규제가 가른 아파트 거래량
주택공급 물량도 양극화…올해 지방 아파트 분양 비중 44% 그쳐
‘역·숲·학세권’ 갖춘 광명뉴타운 내 대단지
원주 부동산 시장 바닥 찍고 반등하나, 미분양 물량 70% 뚝
'6·27 규제' 피한 지방, 부동산 회복하나… 대구 원정 갭투자족 부활
신한은행, 수도권 외 지역 전세대출 막는다… "금융채 반영 금리체계 구축"
주금공, ‘전세보증금+대출금’ 집값 90% 넘으면 보증 안내준다
“출퇴근에 몇시간씩 못 쓰겠어요”…GTX역 낀 랜드마크 단지 전셋값 ‘천정부지’
입주 물량, 2년 뒤 더 없다…올해 상반기 인허가·착공 모두 '뚝'
남양주 왕숙 추가편입지 보상액 공고에 토지주들 반발 “민간 감정보다 100만원 낮아”
"벽 갈라지는 전조증상, 복구해도 사람 키만큼 내려앉아"…서울 땅 발밑이 두렵다[新교통난민 보고서]⑮
5호선 김포검단 연장 예타 1년째 제자리…연내 발표도 '불투명'
인천∼서울 지하 잇는 '제4경인고속도로' 건설 다음달 결론
2분기 상업·업무용 빌딩 거래 금액 43% 늘어
"한강변 도심 복합문화공간"…서울시, 제2세종문화회관 설계공모
[단독] 개포우성7차 비방전에 강남구청 칼 빼든다… “삼성물산·대우건설, 행정지도 검토”
[단독]공개입찰 대신 우선분양…'잠래아' 보류지 특혜분양 논란
부천시, 중동신도시 재건축 속도…은하마을 예비사업자 지정

데일리 경매 데이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