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0/13 Daily NEWS

오늘의 부동산 뉴스

오늘의 부동산 뉴스로 주요 뉴스를 빠르게 확인하세요!

 주요기사

한 달 만에 또 나오는 부동산 대책…규제지역 확대·대출 규제 강화할 듯
 요약 : 당정과 대통령실은 서울 전역에서 집값 상승세가 이어지자 이번 주 부동산 대책을 발표하기로 했다. 규제지역 확대와 대출 규제 강화가 핵심으로, 무주택자의 LTV를 50%에서 40%로 낮추고 1주택자의 전세대출 한도도 2억원으로 일괄 축소했다. 당정은 이번 조치로 단기 투기 수요를 억제하고 시장 안정화를 유도하겠다고 했다. 그러나 전문가들은 규제가 오히려 노원·도봉 등 외곽 지역의 집값 상승을 자극하는 ‘풍선효과’를 유발할 수 있다고 우려했다. 정부는 법 개정 없이 시행 가능한 규제부터 신속히 적용하겠다고 밝혔다.
잡으려는 집값 안잡히고, 월세 난민만 속출…‘전세 품귀’ 역풍맞은 대출규제
 요약 : 서울 아파트 전세 품귀 현상은 대출 규제, 계약갱신권 사용 증가, 갭투자 위축 등이 맞물리며 심화하고 있다. 전세 매물은 급감했고, 신규 전세 계약은 1년 새 29% 줄었으며, 대단지에서도 전세 물건이 거의 사라졌다. 수요는 월세시장으로 이동해, 월세 비중은 60%를 넘고 100만 원 이상 고가 월세도 40%에 달하고 있다. 전세수급지수는 4년 만에 최고치로, 전세난 장기화 우려가 커지고 있다. 전문가들은 무리한 규제가 전세난과 월세난을 초래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늙어서 집 한 채 가진 게 죄가 됐다"…종부세 납부자 52%가 60대 이상 고령층
 요약 : 지난해 종합부동산세 납부자의 절반 이상이 60세 이상 고령층으로, 전체 납부자의 52%를 차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이 납부한 세액은 6244억 원으로 전체의 57%였으며, 1인당 평균 세액도 60세 이상이 더 높았다. 고령층 비중은 2020년 이후 꾸준히 증가해 4년 만에 약 8%포인트 상승했다. 이는 고령층 자산 대부분이 부동산에 집중돼 있어 종부세 부담이 실질적으로 은퇴세대에 집중되고 있다는 분석이다. 전문가들은 종부세 제도 전반의 재검토가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더 많은 기사 살펴보기

경매도 아파트 쏠림…한강벨트 '마·용·성'만 뜨겁다
과열된 한강벨트, 규제지역 묶일까…세제 카드는 빠질 듯
주담대 한도 더 조이면 전세값 폭등, 어쩌나…고심 깊어지는 ‘3번째 대책’
[단독] 마포 1000가구 대단지에 전세매물 ‘0’가을철 이사대란 불보듯
"분양권도 '주택 간주' 규정, 2018년 시행 후 공공임대부터"
서울 집값 급등에 일부 집주인 '배액배상' 카드 꺼내 들었다
5년간 집값 담합 2078건 적발… 처벌은 10건 중 1건만
정부는 부동산보증 줄인다는데…주금공 "반환보증 4년뒤 2.8조 확대"
집값 급등·건설사 CEO 줄소환…국토위 '주택·중대재해' 도마 위
[단독]DSR 산정때 전세대출 포함 방침… 마포-성동 등 투기과열지구 검토
LH, 임직원 가족 소유 주택을 임대주택 매입
전문가들 “부동산 추가 규제 나와도, 서울 집값 잡기 어려울 것”
“전세 계약, 이제 두렵지 않아요” 서울시, 청년 맞춤형 전세 사기 예방 전자책 발간

데일리 경매 데이터